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RAID(레이드) 구성 방식
    IT 2025. 4. 15. 01:54
    반응형

    안녕하세요, 관식이 아조씨예유~ 오늘은 데이터 관리할 때 자주 나오는 RAID라는 놈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 거라우~

     

     

    RAID 0 (스트라이핑)

     

    RAID 0는 최소 2개의 디스크가 필요허고,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방식이우다. 이 방법은 성능과 용량이 단일 디스크보다 훨씬 좋지만, 한 개라도 디스크가 고장 나믄 데이터가 전부 날아가버리는 위험이 있으쿠다.

    • 성능: 단일 디스크의 N배
    • 용량: 단일 디스크의 N배
    • 안정성: 낮음 (한 개라도 고장 나믄 전체 데이터 손실)

     

     

    RAID 1 (미러링)

     

    미러링이라 불리는 RAID 1은 최소 2개의 디스크에 똑같은 데이터를 복제해두는 방식이우다. 덕분에 안정성은 최고지만, 여러 디스크를 써도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은 단일 디스크 용량과 똑같다우~

    • 성능: 단일 디스크와 유사
    • 용량: 단일 디스크 용량과 동일
    • 안정성: 높음

     

     <RAID 4>

    Disk 1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Disk 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Disk 3

    A1 A2 P(A1, A2)
    B1 B2 P(B1, B2)
    C1 C2 P(C1, C2)

     

    RAID 4

    RAID 4는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나누고, 패리티라는 에러 복구 데이터를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하는 방식이우다. 최소 3개의 디스크가 필요하고, 한 개의 디스크가 고장 나도 복구가 가능허다.

    • 성능: 단일 디스크 대비 N-1배
    • 용량: 단일 디스크 대비 N-1배
    • 안정성: 중간 (하나의 디스크 오류 시 복구 가능)

     

     

     <RAID 5>

    Disk 1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Disk 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Disk 3

    A1 A2 P(A1, A2)
    B1 P(B1, B2) B2
    P(C1, C2) C1 C2

     

    RAID 5

    RAID 5는 RAID 4의 단점을 개선한 방식으루다가, 패리티를 고정된 디스크가 아니라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허는 방식이우다. 성능과 용량도 RAID 4와 비슷하구, 최소 3개의 디스크가 필요허다.

    • 성능: 단일 디스크 대비 N-1배
    • 용량: 단일 디스크 대비 N-1배
    • 안정성: 중간 이상

     

     

    <RAID 6>

     

    Disk 1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Disk 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Disk 3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Disk 4

    A1 A2 P1 P2
    B1 P1 B2 P2
    P1 B1 P2 B2
    C1 C2 P1 P2

     

    RAID 6

    RAID 6는 RAID 5에서 패리티를 두 개의 디스크에 저장하여 더 안정성을 높인 방식이우다. 최소 4개의 디스크가 필요허고, 두 개까지 디스크가 고장 나도 복구가 가능하우다.

    • 성능: 단일 디스크 대비 N-2배
    • 용량: 단일 디스크 대비 N-2배
    • 안정성: 높음

     

    중첩 RAID 방식(Nested RAID)

    중첩 RAID는 여러 RAID 방식을 결합하여 성능과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방식이우다. 대표적으로 RAID 0+1과 RAID 1+0이 있지요.

     

    RAID 0+1

    스트라이핑을 먼저 하고 미러링을 나중에 하는 방식이우다. 디스크 하나가 고장 나믄 전체 그룹 데이터를 복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우.

    • 성능: 높음
    • 안정성: 중간

    RAID 1+0

    미러링을 먼저 하고 스트라이핑을 나중에 하는 방식이우다. 이 방식은 디스크가 고장 나도 손실된 데이터만 복구하면 되니깐 관리하기 더 쉽지요.

    • 성능: 높음
    • 안정성: 매우 높음

    이상으로 RAID 구성 방식들을 정리해봤으니, 필요에 따라 잘 골라서 쓰면 좋겠수다! 다음에도 관식이 아조씨가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으니, 자주 놀러오시라우~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